본문 바로가기
정형외과

벽에 손가락을 찧었는데… 며칠 지나서 더 아프고 붓는 이유는?

by 아톰K 2025. 7. 3.
반응형

설명:
가볍게 부딪힌 줄 알았던 손가락 통증이 며칠 뒤 더 심해졌다면 단순 타박상이 아닐 수 있습니다. 엄지손가락을 벽에 세게 찧은 후 발생하는 혹, 붓기, 통증의 원인을 정리하고, 타박상과 골절의 구분, 병원 진료 시점까지 함께 안내합니다. 실제 경험담과 함께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친절하게 알려드립니다.

👋 단순 타박상? 아니면 골절? 손가락을 세게 부딪힌 후 흔한 증상들

손가락을 어디에 세게 찧었을 때, 처음에는 "아 그냥 얼얼하네…" 하고 넘기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시간이 지나도 통증이 점점 심해지거나, 붓기와 함께 혹처럼 단단한 덩어리가 생긴다면 그냥 넘기면 안 되는 상황일 수 있어요.

  • 처음엔 얼얼하기만 했지만, 2~3일 후 통증이 심해짐
  • 붓기 + 피부색 변화(붉거나 멍든 듯한 색)
  • 누르면 통증이 심해짐
  •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펼 때 불편함
  • 혹처럼 단단한 융기(내부 출혈이나 혈종 가능성)

🦴 단순 타박상 vs 미세골절 vs 혈종 구분하는 법

✅ 단순 타박상일 경우

  • 찧은 직후만 아프고 점점 나아짐
  • 손가락 움직임에 큰 제한 없음
  • 약간의 붓기 있으나 며칠 내 가라앉음

⚠️ 미세 골절(미세 골절이나 실금 골절)

  • 겉으로는 티가 나지 않지만 며칠 뒤 통증이 심해짐
  • 손가락 끝에서 압통(누르면 욱신거림)
  • 붓기 + 혹처럼 단단한 느낌
  • 움직일 때 특정 각도에서 통증 심화됨
  • 방사선 검사(X-ray)로만 진단 가능

❗ 혈종(피멍 또는 내부 출혈)

  • 혹 모양의 융기 아래 멍이 동반됨
  • 손가락 안에 고여 있는 피가 단단하게 만져짐
  • 시간이 지나면서 색이 짙어짐 → 누르면 아픔
  • 작게 고인 경우 자연 흡수되지만, 크면 치료 필요

🏥 병원에 가야 할 때는 언제일까?

  • 찧은 지 48시간 이상 지났는데 통증이 오히려 더 심해짐
  • 붓기가 심하고 혹처럼 단단한 덩어리가 계속 만져짐
  •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펼 수 없음
  • 손끝 감각이 둔하거나 저림 증상이 있음
  • 피부가 붉거나 열감이 동반됨

정형외과 또는 외상 전문의 진료를 통해 X-ray 또는 초음파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아요.

🧊 집에서 할 수 있는 응급처치 방법 (R.I.C.E 요법)

  1. Rest (안정): 손가락 사용 최소화, 부목 등으로 고정
  2. Ice (냉찜질): 하루 2~3회, 15~20분 얼음팩 (수건에 싸서)
  3. Compression (압박): 붕대나 테이프를 느슨하게 감기
  4. Elevation (올리기): 손을 심장보다 높게 들어 붓기 완화

단, 이미 붓기나 열이 심하면 병원 진료가 우선입니다.

👩‍⚕️ "진짜 괜찮을 줄 알았어요…" 나의 2일 후 통증 후기

처음엔 정말 별일 아닐 줄 알았어요. 2일 전에 엄지 손가락을 벽에 '쿵' 하고 부딪쳤는데, 순간 얼얼하긴 했지만 피도 안 나고 움직일 수도 있었거든요.

그런데 문제는 그 다음날부터였어요. 욱신욱신 저릿저릿, 혹처럼 부어오르고 누르면 진짜 너무 아픈 거예요. 그제서야 걱정이 되기 시작했어요.

"혹시 안에 금이라도 간 걸까?", "피멍이 고인 건가?", "병원은 꼭 가야 하나…" 결국 약국에서 진통소염제 바르고 냉찜질을 했지만, 다음날 아침에도 통증이 가라앉지 않아서 정형외과에 다녀왔어요.

다행히 골절은 아니고 ‘혈종’이 생긴 거였다고 하더라고요. 손가락 뼈엔 이상이 없지만 안에 피가 고이면서 통증과 부종이 심해진 거라고요. 지금은 치료받으면서 많이 나아지고 있어요.

☑️ 마지막 정리: 벽에 손 부딪친 후 "2~3일 뒤 통증"은 절대 무시하지 마세요

  • 찧은 직후보다 2~3일 뒤 통증이 심해지는 건 이상 신호
  • 혹처럼 만져지고 붓는다면 단순 타박상이 아닐 수 있어요
  • 가볍게 넘기지 말고 병원에서 꼭 진단받으세요
  • 초기엔 RICE 요법으로 대처하고, 통증 지속 시 전문 진료가 우선입니다

 

반응형